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덤프버전 : (♥ 0)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吉隆坡国际机场 / 吉隆坡國際機場[1]
Lapangan Terbang Antarabangsa Kuala Lumpur[2]
Kuala Lumpur International Airport[3]
கோலாலம்பூர் பன்னாட்டு வானூர்தி நிலையம்[4]
파일: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로고.svg
파일:KLIA_Aerial.jpg
분류
민간 공항
공항코드
IATAKUL
ICAOWMKK
상세
국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위치쿠알라룸푸르
고도21m (69ft)
좌표북위 02도 44분 36초
동경 101도 41분 53초
개항
1998년 6월 27일
활주로
제1활주로14L/32R (4,019m × 60m)
제2활주로14R/32L (4,000m × 60m)
제3활주로15/33 (3,960m × 60m)
운영
운영기관말레이시아공항
운영시간
웹사이트
파일:말레이시아 공항 로고.png
지도

1. 개요
2. 공항 정보
2.1. KLIA 터미널 1
2.2. KLIA 터미널 2
3. 운항 노선
3.1. 국제선
3.2. 국내선
3.3. 화물 노선
4. 연계 교통
4.1. 공항 철도
4.2. 버스
4.3. 차량 공유
5. 장래 계획
6. 사건사고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hd.wallpaperswide.com/kuala_lumpur_international_airport_malaysia-t2.jpg

파일:external/2.bp.blogspot.com/Screen+shot+2012-07-07+at+8.42.07+PM.png

말레이시아수도 쿠알라룸푸르의 관문 공항. 공항 자체는 쿠알라룸푸르 시 안쪽이 아닌, 대한민국으로 치면 경기도에 해당하는 슬랑오르(Selangor) 주의 세팡(Sepang) 구역에 위치해 있다. 물론 동명의 공항이 진짜로 쿠알라룸푸르 안에 있었는데 지금은 문을 닫았다. 물론 수도권이기 때문에 사실 쿠알라룸푸르 내라고 봐도 상관은 없다. 인천국제공항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과 같은 케이스.

1965년부터 1998년까지 말레이시아의 관문 역할을 했고, 한국김포국제공항과 유사한 위상이었던 수방 국제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1993년 계획이 시작되어 1998년 착공되었다.


2. 공항 정보[편집]


말레이시아의 국적사인 말레이시아 항공아시아 지역 최대의 저가 항공사에어아시아, 그리고 말린도항공허브이다. 에어아시아는 저가항공 터미널 LCCT에서 2014년 5월에 이곳으로 옮겼다. 정확히는 klia2.# 말린도항공의 경우 klia2에서 운항하다가, 2016년 3월부로 메인터미널(KLIA1)로 옮겼다.

대한민국 노선으로는 인천에서 말레이시아 항공대한항공, 에어아시아 엑스, 바틱에어 말레이시아가 운항하고 있으며 김해국제공항에서도 에어아시아 엑스가 운항하고 있다.[5]

2023년 공식적으로 각 터미널의 명칭을 KLIA, klia2 에서 KLIA Terminal 1, KLIA Terminal 2 로 변경하였다.#


2.1. KLIA 터미널 1[편집]


파일:external/www.filatelic.com/klia.jpg
풀 서비스 캐리어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터미널이다. 말레이시아 항공대한항공의 인천행 항공편은 여기서 출발한다. klia2의 오픈에 따라 KLIA의 메인터미널의 명칭이 KLIA1으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묵살되고 명칭은 그대로 KLIA 메인 터미널이다. 하지만 이용객들, 직원들 모두 KLIA1으로 부른다. 통상 "터미널 1"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름답게 당연히 1998년 개항과 함께 문을 열었는데, 일본인 건축가가 디자인한 이 터미널은 구 공항인 수방 국제공항의 지금은 사라진 터미널 1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다만 시대에 맞춰 한층 더 세련된 것이 특징이며, 그 멋은 인천국제공항이나 홍콩 국제공항에 꿀리지 않는다. 근데 위성으로 보면 은근 작아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작지는 않으며 탑승동(Satellite Terminal)과 연결된다.

탑승구역 내에 식음료 매장이 많이 부족하므로[6] 시간이 충분할 경우 체크인구역에서 식사 후 탑승구역으로 이동하는것이 좋다. 특히 탑승동의 경우 십자 모양의 중앙에만 면세점과 매장이 모여있어 인천공항이나 창이공항등의 그것을 생각한 경우 낭패일수 있다. 다만 탑승구역 내에서 터미널과 탑승동간의 이동은 양방향 모두 가능하므로 보딩 시간이 긴 경우 구경도 가능하다. 그러나 터미널에도 매장이 별로 없는것은 마찬가지..


2.2. KLIA 터미널 2[편집]


파일:external/economytraveller.com/klia2-aerial-artist-impression.jpg

2013년 말에 문을 연 터미널 2. 1터미널보다는 더 큰데, 원래에는 그림과는 다른 디자인으로 계획되었으나 결국 그림대로 지어졌다.

에어아시아, 에어아시아 엑스 등의 저비용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터미널이다. 에어아시아 엑스의 인천행 항공편은 여기서 출발한다. A380이 밑으로 들어갈 수 있는 Satellite와 Terminal을 잇는 브릿지가 있다. 한국행 항공편은 Satellite 구석에서 항상 출도착하기 때문에 출도착시 많이 걸어야 되고 도착시에는 많이 올라갔다 내려와야 한다.

추후 계획에 따르면 터미널 1용인 탑승동 1 옆에 탑승동 2를 지어 이 터미널과 연결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에어아시아 허브터미널 답게 크기는 매우 크지만 속 빈 강정처럼 탑승구역 내의 시설은 구색만 갖춰놓은 수준이다. 일부 피어의 경우 통로가 매우 좁아 게이트 앞에 기다리는 사람들과 섞여 아수라장을 만들어내기도 해 탑승 전부터 피곤함이 몰려온다.

1터미널과 마찬가지로 탑승구역 내에 식음료 매장이 많이 부족하다. 2터미널과 바로 연결되어있는 게이트웨이몰에 수많은 식음료 매장이 입점해있으므로 여유가 있다면 탑승구역으로 이동 전 방문하는것을 추천한다. 특히 에어아시아 탑승시 무료로 제공되는 기내식따위는 없으므로 탑승 전 배를 채우는것이 좋다. 아울러 도보형태를 굉장히 불편이 만든 공항이기에 시간 여유를 두고 걷는것을 추천한다.

아울러 2터미널 탑승구역(판매구역을 지나 피어 내부) 내에서는 물은 판매하지 않고 오직 탄산음료등만 판매한다! 그마저도 점포가 몇개 없어 줄이 길다. 에어아시아의 기내 판매를 위한 큰그림 빈 물통을 휴대한 후 정수기[7]에서 받아 기내에 들고 탈 수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찬물은 기대할 수 없다.


3. 운항 노선[편집]



3.1. 국제선[편집]


항공사나라편명취항지
말레이시아 항공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MH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국기.svg방콕(수완나품),
파일:브루나이 국기.svg반다르 세리 베가완(브루나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덴파사르, 수라바야, 메단,자카르타,
파일:베트남 국기.svg하노이, 호찌민
파일:필리핀 국기.svg마닐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프놈펜, 시엠립
파일:미얀마 국기.svg양곤
파일:태국 국기.svg푸켓
-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에들레이드, 브리즈번, 시드니, 멜버른, 멜버른(아발론), 퍼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오클랜드(뉴질랜드)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울(인천)
파일:일본 국기.svg도쿄(나리타), 도쿄(하네다), 오사카(간사이)
파일:중국 국기.svg베이징(서우두), 베이징(다싱), 상하이(푸둥), 광저우, 푸저우, 하이커우, 항저우, 난징, 우한, 샤먼, 충칭
파일:대만 국기.svg타이페이(타오위안)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
-
남아시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다카
파일:인도 국기.svg벵갈루루, 첸나이, 델리, 뭄바이,하이데라바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콜롬보
파일:네팔 국기.svg카트만두
-
중동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제다*계절편: 메디나
-
유럽
파일:영국 국기.svg런던(히스로)
바틱에어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OD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국기.svg방콕(돈므앙), 푸켓
파일:베트남 국기.svg하노이, 호치민,
파일:미얀마 국기.svg양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덴파사르(발리), 반둥, 메단, 자카르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프놈펜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창이),
-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브리즈번, 멜버른, 퍼스* 계절편: 크리스마스 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오클랜드(뉴질랜드)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울(인천)
파일:중국 국기.svg광저우, 구이양, 하이커우, 싼야, 우한
파일:대만 국기.svg타이베이(타오위안)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
-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델리, 벵갈루루, 뭄바이,암릿사르, 코친, 티루바난타푸람, 티루치라팔리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다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콜롬보
파일:네팔 국기.svg카트만두
파일:파키스탄 국기.svg라호르
에어아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AK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국기.svg끄라비, 핫야이, 후아힌, 파타야, 방콕(돈므앙), 치앙마이,푸켓
파일:브루나이 국기.svg반다르 세리 베가완(브루나이)
파일:베트남 국기.svg다낭, 나짱, 하노이, 호찌민, 푸꾸옥, 달랏
파일:캄보디아 국기.svg프놈펜, 시아누크빌, 시엠립
파일:라오스 국기.svg비엔티안
파일:미얀마 국기.svg양곤,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창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롬복, 반둥, 반다 아세흐,덴파사르(발리), 파당, 팔렘방,자카르타(수카르노하타), 수라바야, 족자카르타, 벨리퉁, 실랑잇, 세마랑, 폰티아낙, 마카사르, 메단, 페칸바루
파일:필리핀 국기.svg마닐라, 다바오,
-
동아시아
파일:중국 국기.svg 창사, 광저우(바이윈), 난닝, 샨터우, 구이린, 선전,쿤밍,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
남아시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다카,
파일:몰디브 국기.svg말레(몰디브),
파일:스리랑카 국기.svg콜롬보,
파일:인도 국기.svg벵갈루루, 첸나이, 부바네스와루, 하이데라바드, 코치, 콜카타, 티루치라팔리, 비샤카파트남
에어아시아 X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D7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덴파사르(발리)
-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골드코스트,멜버른(아발론), 퍼스, 시드니
파일:뉴질랜드 국기.svg오클랜드(뉴질랜드)[8]
파일:미국 국기.svg아발론, 호놀룰루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울(인천), 부산, 제주
파일:일본 국기.svg도쿄(하네다), 후쿠오카, 오사카(간사이), 삿포로(신치토세)
파일:중국 국기.svg베이징(서우두), 상하이(푸둥),청두, 충칭, 우한, 시안, 항저우
파일:대만 국기.svg타이베이(타오위안), 가오슝
-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델리, 암리차르, 자이푸르
파일:네팔 국기.svg카트만두,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계절편: 제다, 메디나
대한항공파일:대한민국 국기.svgKE서울(인천)
바틱 에어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ID첸나이, 덴파사르(발리), 자카르타, 메단
가루다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GA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QZ자카르타, 수라바야
라이온 에어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JT자카르타, 수라바야
타이 에어아시아파일:태국 국기.svgFD방콕(돈므앙), 핫야이
타이항공파일:태국 국기.svgTG방콕(수완나품)
타이 스마일파일:태국 국기.svgWE방콕(수완나품)
방콕 항공파일:태국 국기.svgPG코사무이
세부 퍼시픽파일:필리핀 국기.svg5J마닐라
필리핀 항공파일:필리핀 국기.svgPR마닐라
에어아시아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Z2세부, 마닐라
제트스타 아시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3K싱가포르(창이)
스쿠트 항공파일:싱가포르 국기.svgTR싱가포르(창이)
싱가포르항공파일:싱가포르 국기.svgSQ싱가포르(창이)
로열 브루나이 항공파일:브루나이 국기.svgBI반다르 세리 베가완(브루나이)
비엣젯항공파일:베트남 국기.svgVJ호치민
베트남항공파일:베트남 국기.svgVN하노이, 호치민
중국국제항공파일:중국 국기.svgCA베이징(서우두)
선전항공파일:중국 국기.svgZH선전
중국동방항공파일:중국 국기.svgMU난징, 취안저우, 상하이(푸동)[9]
중국남방항공파일:중국 국기.svgCZ창사, 광저우
럭키 에어파일:중국 국기.svg8L쿤밍, 리장
샤먼항공파일:중국 국기.svgMF다롄, 푸저우, 샤먼
캐세이드래곤항공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KA홍콩
중화항공파일:대만 국기.svgCI타이베이(타오위안)
에바항공파일:대만 국기.svgBR타이베이(타오위안)
스타럭스항공파일:대만 국기.svgJX타이베이(타오위안)
일본항공파일:일본 국기.svgJL도쿄(나리타)
전일본공수파일:일본 국기.svgNH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스리랑카 항공파일:스리랑카 국기.svgUL콜롬보
히말라야 항공파일:네팔 국기.svgH9카트만두
네팔항공파일:네팔 국기.svgRA카트만두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BG다카
리젠트 항공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RX다카
US 방글라 항공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BS다카
파키스탄 국제항공파일:파키스탄 국기.svgPK카라치
이라크 항공파일:이라크 국기.svgIA바그다드, 바스라
에티하드 항공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EY아부다비
에미레이트 항공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EK두바이(인터내셔널)
플라이나스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XY* 계절편:제다
사우디아 항공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SV제다, 리디야, 메디나
오만 항공파일:오만 국기.svgMY무스카트
카타르 항공파일:카타르 국기.svgQR도하
로얄 요르단 항공파일:요르단 국기.svgRJ암만(퀸 알리아), 방콕(수완나품)
마한항공파일:이란 국기.svgW5테헤란(이맘 호메이니)
우즈베키스탄항공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HY싱가포르(창이), 타슈켄트
에어 아스타나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KC알마티
영국항공파일:영국 국기.svgBA런던(히스로)
콘도르 항공파일:독일 국기.svgDE프랑크푸르트
KLM 네덜란드 항공파일:네덜란드 국기.svgKL암스테르담, 자카르타
에어 모리셔스파일:모리셔스 국기.svgMK모리셔스, 싱가포르(창이)
에티오피아 항공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ET아디스아바바, 싱가포르(창이)
터키 항공파일:튀르키예 국기.svgTK이스탄불
인디고 항공파일:인도 국기.svg6E첸나이


3.2. 국내선[편집]


항공사편명취항지
에어아시아AK알로르스타르, 반다아세, 빈툴루, 코타바루, 코타키나발루, 쿠알라트렝가누, 콴탄, 쿠칭, 람부안, 랑카위, 미리, 피낭, 산다칸, 시부, 타와우
말레이시아 항공MH알로르스타르, 빈툴루, 조호르바루, 코타바루, 코타키나발루, 쿠알라트렝가누, 콴탄, 쿠칭, 람부안, 랑카위, 미리, 페낭, 산다칸, 시부, 타와우
말린도항공OD코타키나발루, 쿠칭, 람부안, 랑카위, 피낭


3.3.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편명취항지
카고룩스CV바쿠, 첸나이, 룩셈부르크, 싱가포르(창이), 정저우
중화항공 카고CI첸나이, 룩셈부르크, 피낭, 타이베이이(타오위안)
페덱스 익스프레스FX세부, 광저우, 피낭, 싱가포르(창이), 도쿄(나리타)
가딩 사리KC코타키나발루, 쿠칭, 미리
대한항공 카고KE피낭, 서울(인천)
에어인천KJ서울(인천)
MAS 카고KC암스테르담, 바쿠, 방콕(수완나품), 벵갈루루, 첸나이, 충칭, 델리, 다카, 두바이, 프랑크푸르트, 광저우, 하노이, 홍콩, 자카르타, 코타키나발루, 쿠칭, 라부안, 마카오, 마닐라, 뭄바이, 피낭, 상하이(푸둥), 시드니, 타이베이(타오위안), 도쿄(나리타), 정저우
홍콩화물항공KC홍콩
리퍼블릭 익스프레스 항공KC자카르타
실크 웨이 항공KC암스테르담, 바쿠, 프랑크푸르트, 싱가포르
유니탑 항공KC선전
UPS 항공UP댈러스/포트워스, 뭄바이, 오사카(간사이), 페낭, 서울(인천), 선전


4. 연계 교통[편집]



4.1. 공항 철도[편집]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역

KLIA 익스프레스운영기관 : 익스프레스 레일 링크
개업일 : 2002년 4월 14일
KL 센트럴 방면
KL 센트럴 역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 방면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
KLIA 트랜짓운영기관 : 익스프레스 레일 링크
개업일 : 2002년 6월 20일
KL 센트럴 방면
살락 팅기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 방면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역

KLIA 익스프레스운영기관 : 익스프레스 레일 링크
개업일 : 2014년 5월
KL 센트럴 방면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시종착역
KLIA 트랜짓운영기관 : 익스프레스 레일 링크
개업일 : 2014년 5월
KL 센트럴 방면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시종착역

공항철도에 해당하는 KLIA 익스프레스KLIA 트랜짓이 운행하고 있다.

KL 센트럴 역에서는 두 교통 모두 이용할 수 있는데, KLIA 트랜짓은 KL 센트럴 역에서 KLIA2 까지 대략 39분, KLIA 익스프레스는 KLIA2 까지 대략 33분 정도 걸린다. 가격은 둘 다 RM55(어린이는 RM25)[10]으로 공항에 빨리 가야 하는 일이 있으면 당연히 KLIA 익스프레스를 타는 것을 권한다.

참고로 KLIA 익스프레스 노선 한정으로 KL 센트럴 역에서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출국 시 탑승권 발급과 수하물 위탁 서비스를 운영중이다. # 단, 말레이시아 항공, 캐세이패시픽항공, 말린도항공 한정. 서울 삼성동 도심공항터미널(최소 3시간 전)과는 달리 비행기 출발 2시간 전까지 체크인을 허용해 준다.

온라인 또는 모바일 앱에서 탑승권을 결제하거나, 역마다 위치한 셀프 키오스크에서 탑승권을 구입할 경우 1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가격이 다소 높은편이므로 비용을 절약하려면 버스를 이용하거나 두명 이상일 시 그랩을 이용하는편이 낫다. 참고로 열차와 버스 모두 행선지는 KL Sentral역으로 동일하다. 버스, 열차(Express) 모두 공항에서 시내까지 무정차이고 버스도 나름 쾌적한편이라 시간에 쫓기는게 아니라면 버스도 나쁘지 않은 선택지이다. 55링깃 vs 10링깃, 돈주고 시간사기..


4.2. 버스[편집]


KL 센트럴역행 버스가 30분에 한대씩 운영중이며[11] 가격은 양방향 모두 RM10 정도로 # 공항 이동 방법중 가장 저렴하다. 이동시간은 약 1시간정도 소요된다.


4.3. 차량 공유[편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그랩 기준 쿠알라룸푸르 이동 가격은 거리와 무관하게 RM65 정찰제로 운영중이다. 톨비는 별도로 책정되며 시내 이동시 약 RM10 정도 추가된다.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할수 있는곳이 따로 정해져있는데 공항에서 승차하는 경우 도착층 승차장에서만 탑승이 가능하다.

특정 시간대의 경우 그랩 잡기가 매우 어렵거나 잡아놓고 오지 않으면서 취고 요청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팁을 높여 요청하거나 꼼짝없이 다른 교통을 이용해야한다..


5. 장래 계획[편집]


터미널 2 전용 활주로(활주로 3) 바로 옆에 터미널 1 전용 활주로(활주로 1)와 바로 평행하고 똑바른 위치로 활주로 4를 만들 계획이 있으며, 터미널 1 전용 탑승동 바로 옆 공터에 터미널 2 전용 탑승동을 지을 예정이다.

초기 계획에는 활주로 4에서 왼쪽으로 90도 틀어서 활주로 5를 만들고, 터미널 1 바로 위에 터미널 3을 만드는 계획이 있었으나, 당시 계획에서는 지금의 터미널 2가 빠진 것으로 보아 현재는 용도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6. 사건사고[편집]


2017년 2월 13일, klia2 건물 3층 자동발권기 앞에서 티켓을 구매하고 있던 북한 김정남이 각각 인도네시아 국적과 베트남 국적 여성 2인조에게 VX 가스로 피습당한 뒤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확산성이 강한 VX 독가스를 엄청난 유동인구가 오가는 국제공항에서 사용되는 바람에 말레이시아 정부는 VX 제거를 위해 화학부대까지 보내는 등 한바탕 소동을 빚었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4:46:58에 나무위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국어[2] 말레이어[3] 영어[4] 타밀어[5] 김해~쿠알라룸푸르 노선은 루프트한자뮌헨행 단항 이후 한동안 김해국제공항의 최장거리 노선이었다. 다만 루프트한자 뮌헨 노선은 인천공항 경유였으므로 제외한다면 쿠알라룸푸르 노선은 역대 최장거리였던 셈이다. 이후 김해공항에서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 노선이 생겨서 장거리 2위로 내려갔다.[6] 체크인 구역에는 맥도날드, KFC, 딘타이펑등 유명 프렌차이즈 매장이 오픈해있으나 탑승구역에는 그런거 없다.[7] 무려 웅진 정수기이다[8] 2024년 1월 31일 단항[9] 상하이항공에서 운항[10] RM35였으나 인상되었음.[11] KL 센트럴 출발 5:00 am - 11:00 pm / KLIA 출발 6:00 am - 12:30 am